IF 영역 (Insruction Fatch)

  • 명령어를 패치하는 과정
  • PC 값을 4증가시킴

IF 영역 (Insruction Decode)

  • 명령어 디코딩 ( 명령어 인지)

EX 영역 (Excute)

  • 명령어 실행
  • 주소 연산등의 연산 결과 값 도출

MEM 영역 (Insruction Decode)

  • 메모리 관련 작업
  • 메모리에서 레지스터 값을 가져오거나 저장

WB 영역 (Write back)

  •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

#파이프라인 저장

각 파이프 라인이 해당 연산자 컨트롤 값들을 가지고 있음.

- 상위 파이프라인은 하위 파이프라인의 값들을 가지고 있음

- 파이프라인은 레지스터 값 및 제어 값들을 가지고 있음

 

#파이프라인 시기에 따른 포워딩 제어값

각 시기에 따라 어떤 파이프라인에서 값을 가져올 지 결정

 

# Stall

 

올바른 값 연산을 위해 1단계를 건너뛰게 해줌. (모든 제어값을 0 으로 둬서 패스 하는 방식)

'공부 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++ 과 C# 의 차이  (0) 2024.05.22
데이터 계층  (0) 2023.06.28
MIPS 데이터 패스 구동 방식  (0) 2023.06.28
MIPS 주소 방식  (0) 2023.06.28
MIPS 함수 사용  (0) 2023.06.28

+ Recent posts

let textNodes = document.querySelectorAll("div.tt_article_useless_p_margin.contents_style > *:not(figure):not(pre)"); textNodes.forEach(function(a) { a.innerHTML = a.innerHTML.replace(/`(.*?)`/g, '$1'); });